올바른 페트병 분리수거 방법. 왜 병뚜껑을 따로 버려야 하나요?. 패트병 본체와 병뚜껑은 서로 다른 종류의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졌다. 병 본체: PET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병 뚜껑: PP(폴리프로필렌) 또는 PE(폴리에틸렌) 이 두 재질은 재활용 과정에서 따로 처리돼야 하며, 섞이면 품질이 떨어지거나 아예 재활용이 불가능한 경우도 생긴다. 라벨도 함께 제거한다. 사진=배진연
광양시니어클럽 저탄소 환경지킴이들이 분리수거장에서 투명 페트병의 병뚜껑을 따로 떼어내고 있다. 병 본체와 병뚜껑은 재질이 달라 반드시 분리되어야 한다. 뚜껑은 PP(폴리프로필렌), 병은 PET(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로 구성돼 함께 배출되면 재활용이 어렵다. 사진=광양시니어클럽
광양시니어클럽 저탄소 환경지킴이가 각 지역을 순회하면서 모아둔 페트병 병뚜껑을 수거, 광영동 나눔의 집으로 수집한다. 사진=배진연
광양시니어클럽 저탄소 환경지킴이 사업단 참여자들이 광영동 ‘나눔의 집’에 모은 병뚜껑이다. 색깔·크기·모양은 다르지만, 모두가 ‘따로 버리자’는 한마음으로 페트병에서 병뚜껑을 분리해 모았다. 사진=배진연
광양시니어클럽 저탄소 환경지킴이가 수거된 병뚜껑의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꼼꼼히 세척하고 있다. 탄산음료나 유제품이 묻은 채로 보관되면 오염과 악취가 발생하기 때문에, 이 과정은 재활용 품질을 결정하는 핵심이다. 사진=배진연
광양시니어클럽 저탄소 환경지킴이들이 광영동 ‘나눔의 집’에서 페트병 병뚜껑을 색상별로 분류하고 있다. 단일 색상으로 분류해야 재활용 시 원하는 용품의 색상을 정확히 조합할 수 있다. 사진=배진연
광영동 ‘나눔의 집’에서 깨끗이 세척한 병뚜껑을 건조시키는 장면이다. 자연 건조는 에너지를 절약하면서도 세균 번식을 막아 위생적으로 보관할 수 있는 친환경 방식이다. 사진=배진연
분쇄된 병뚜껑, 재활용품으로 다시 태어나다. 완전히 건조된 병뚜껑은 분쇄되어 다양한 재활용품의 원료로 다시 태어난다. 사진 속 앞줄에 놓인 제품은 병뚜껑을 활용한 업사이클링 물품이다. 버려질 뻔한 뚜껑들이 생활 속 유용한 물건으로 재탄생한 것이다. 사진=배진연

광양시니어클럽(관장 반영승)은 ‘저탄소 환경지킴이 사업단’을 통해 ‘페트병 뚜껑 모으기’ 재활용 활동을 진행하면서 호평받고 있다.

광양시니어클럽은 지역 곳곳에 병뚜껑 수거함을 설치하고 시민의 자발적 참여를 통해 플라스틱 뚜껑을 모아 재활용 업체에 전달하고 있다.

광양시니어클럽은 아파트 클린하우스, 단독주택, 공공시설 분리수거장 등에 설치된 수거함을 통해 시민 누구나 병뚜껑 모으기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수거된 병뚜껑은 선별 과정을 거쳐 재활용 플라스틱 제품의 원료로 사용되며, 이는 천연자원 소비를 줄이고 탄소 배출 감소에도 기여한다.

이 활동은 일상 속에서 무심코 버려지는 플라스틱 뚜껑을 자원으로 되살려 탄소 배출을 줄이고 환경을 보호하기 위한 취지에서 기획됐다.

광양시니어클럽 저탄소 환경지킴이 사업단은 현재 광영동 13곳 40명, 옥곡 2곳 3명, 금호동 5곳 15명, 골약동 5곳 18명, 광양읍 30곳 87명, 중마동 27곳 97명 등 총 260명이 활동 중이다.

광양시니어클럽은 아파트 단지 내 클린하우스에서 분리배출 홍보와 함께 병뚜껑 분리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광영동 ‘나눔의 집’에는 어르신 6명을 배치, 4월부터 뚜껑 세척 및 분리작업을 실시하고 있다.

광양시니어클럽은 ‘광양시사랑나눔복지재단’으로부터 올해 계획한 폐트병 수거기 배치함을 지원받아 추가 설치할 예정이다. 이를 통해 자원 재활용에 앞장서는 사업단으로 발돋움할 방침이다.

광양시니어클럽 저탄소 환경지킴이 사업단 관계자는 “작은 플라스틱 조각 하나가 지구를 살리는 시작이 될 수 있다”며 “광양시민 모두가 함께한다면, 광양시는 전국에서 가장 모범적인 저탄소 실천 도시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댓글을 남겨주세요

댓글을 입력해 주세요!
여기에 이름을 입력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