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양시 옥룡면 상운(上雲) 마을엔 문화유산·유적으로 중흥산성, 중흥사, 쌍사자 석등(모조품), 3층 석탑, 석조 지장보살 반가상 등 보존 가치가 높은 문화유산들이 있다. 1962년 국보 제103호로 지정된 광양 중흥산성 쌍사자 석등은 1931년 일제강점기에 광양을 떠나, 1932년 경복궁 자경전 앞에 이건(移建)됐고, 해방 이후 1959년 경무대, 1960년 덕수궁으로 옮겨졌다가 1986년 국립중앙박물관 야외정원으로 옮겨 전시되다 1990년부터 국립광주박물관에 있다. 중흥산성에 쌍사자 석등과 함께 자리를 지키고 있는 삼층 석탑에 대해 알아본다.
[싣는 순서]
1편 국보 제103호 쌍사자 석등(雙獅子 石燈)
2편 보물 제112호 삼층 석탑
3편 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142호 석조 지장보살 반가상
4편 국보 제103호 쌍사자 석등 수난사
광양시 옥룡면 상운마을에는 전라남도 기념물 제178호로 지정된 중흥산성이 있다. 중흥산성 내 중흥사(中興寺)에는 국보 제103호 쌍사자 석등, 보물 제112호 삼층석탑, 전라남도 유형문화제 제142호 석조 지장보살 반가상이 있다. 쌍사자 석등은 수 많은 고초 끝에 현재 국립광주박물관에 보관돼 있다.
한국민족문화대백과에 따르면, 중흥사에는 1963년 보물로 지정된 높이 3.8m의 삼층석탑 1기가 있는데, 기단부에는 팔부신장(八部神將), 또 다른 호칭인 팔부중상(八部衆像)이 조각돼 있다. 팔부신장은 불법(佛法)을 수호하는 여덟 수호신이다. 여덟이기 때문에 팔부중(八部衆)이라고도 부르며, 천(天)·용(龍)을 으뜸으로 쳐 천룡팔부(天龍八部) 또는 천룡팔부중이라 부르기도 한다. 다만, 실제로 여덟명은 아니며, 여덟가지 존재라고 보는 것이 더 정확하다고 정의하고 있다.
불타팔부중은 천(天)·용(龍)·야차(夜叉)·건달바(乾達婆)·아수라(阿修羅)·가루라(迦樓羅)·긴나라(緊那羅)·마후라가(摩睺羅伽) 등이다. 신라시대에는 탑에 가장 많이 들어갔고, 조선시대에는 불화(佛畫), 특히 후불탱화 등에 팔부중을 배치하는 것을 원칙으로 여겼다. 이처럼 팔부중상은 부처님을 지키고 불교를 외호(外護)하던 신장이어서, 부처님이나 승려들의 사리를 봉안하던 탑이나 본존불 주변, 또는 본존불 사방에 배치했다.
중흥사 삼층석탑은 1963년 1월 23일 보물 제112호로, 간주석은 보물 제282호, 제353호, 제389호로 각각 지정됐다. 간주석(竿柱石)은 상대석(上臺石)과 하대석(下臺石)을 받치는 기둥을 말한다.
삼층석탑의 우아함을 탐 낸 일본인들이 1936년 일본으로 운반하려고 해체하다, 지방민의 거센 반발에 부딪혀 원상복구했다. 1958년 하대 복석과 3층부 탑개부를 보수했다. 이처럼 애환이 있는 보물 제112호 삼층석탑은 국보 제103호 쌍사자석등(가품)과 마주보며 중흥사의 얼굴 역할을 하고 있다.
다음은 탑비에 기록된 글이다.
불탑은 부처의 유골을 모신 상징적인 조형물이다. 모든 탑이 진신사리를 모신 것은 아니지만, 부처를 모신 신성한 곳으로 여겨 신앙의 대상이 된다. 중흥산성 삼층석탑은 통일신라시대 말기인 9세기 무렵 조성된 것으로 추정된다. 삼층석탑은 2단의 기단, 3층의 몸 돌과 지붕 돌로 이루어져 있으며, 머리 장식은 남아있지 않다. 기단 모서리에는 기둥 모양을 새겼고, 아래층 기단에는 중앙에도 3개의 기둥을 새겨 넣었다. 위층 기단에는 중앙에 기둥을 새겨 한 면을 둘로 나눈 후, 인왕상, 공양상, 사천왕상 등을 돋을새김(평한 면에 글자나 그림 따위를 도드라지게 새기는 일)으로 섬세하게 조각했다.
1층 몸 돌 각 면에는 연화대좌 위에 있는 여래상을 조각했는데, 이는 동서남북 어디에나 부처가 있음을 의미한다. 북쪽 여래상만 서 있고, 나머지는 앉아 있는 모습이다. 이처럼 기단부와 탑신부에 조각상을 장식한 양식은 통일신라 후기부터 등장한 요소다. 각 층 몸 돌 모서리에도 기둥 모양을 새겼으며, 지붕 돌 아래에는 3단의 받침을 뒀다. 이 석탑의 존재는 통일신라시대 광양지역 불교 문화를 이해하는데 중요한 자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