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앞으로 체육계 폭력사태를 무관용·일벌백계하고, 현장에 인권보호관·상담 인력 확대 등 예방적 ‘인권’ 중심 체계로 전환을 추진한다.
문화체육관광부(장관 최휘영, 이하 문체부)는 10월 24일 스포츠윤리센터를 방문해 최근 체육계 내에서 발생한 아동 폭력 등 각종 폭력 사태에 대한 대응 현황을 점검하고, 윤리센터 직원들과 간담회를 가졌다. 이번 방문은 문체부가 지난 8월 발표한 ‘체육계 폭력 무관용·일벌백계 방침’의 후속 조치로 이뤄졌다.
최휘영 장관은 “체육계는 이제 성과뿐 아니라 인권도 함께 중시하는 문화로 전환해야 한다”며 “어떠한 폭력도 용납할 수 없으며, 피해자의 목소리를 존중하고 안전하게 보호하는 체계를 마련하는 것은 정부의 책무”라고 강조했다.
문체부에 따르면, 지난 9월 한 달간 운영된 ‘스포츠 폭력 특별신고기간’ 동안 총 198건의 신고가 접수됐으며, 이 중 인권침해 관련 신고는 105건으로 전월 대비 크게 늘었다. 이에 문체부는 스포츠윤리센터와 경찰청 간 공조를 강화해 신속한 후속 조치를 추진하기로 했다.
또한 정부는 인권보호관 확대, (성)폭력 예방교육 강화, 상담 인력 보강, 체육계 인권침해 전수조사 등 예방 중심의 인권보호 체계로 전환할 방침이다.
아울러 스포츠윤리센터가 단순한 조사 기관을 넘어 체육계 신뢰 회복의 중심 기관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제도적·재정적 지원을 강화할 계획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