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양시 중마장애복지관(관장 정헌주)은 개관 5주년을 맞아 6월 5일 복지관 중정 및 2층 강당에서 Hi Five! 우리 함께한 5년!이라는 주제로 기념행사를 성황리에 개최했다. 사진= 최학인
6월 5일 중마장애복지관 강당에서 열린 식전 축하공연에서는 ‘광주광역시남구장애인복지관 장애인예술단 남구그린앙상블’이 김은영 음악감독의 지휘 아래 ‘나는 반딧불’, ‘아모르파티’ 등을 열창하며 환상적인 화음을 선사했다. 사진=최학인
정헌주 관장은 기념사에서 “오늘의 주인공은 복지관을 이용하는 모든 분들”이라며 “Hi Five!”를 외치고 참석자들과 함께 인사를 나눴다. 이어 “중마장애인복지관은 고객과 복지관이 서로 사랑하고 사랑받는 관계, 기업과 고객들도 서로 돕고 사랑하는 관계”라고 강조하며, “광양시, 시의회, 기업, 사회단체, 자원봉사자, 그리고 열심히 뛰어준 직원들이 함께했기에 가능했다. 앞으로도 지역사회와 함께 발전해가는 중마장애인복지관이 되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다짐했다. 사진=최학인
정인화 광양시장은 축사를 통해 “장애인 예술단의 공연을 보고 감동받았다”며 “광양시도 올해부터 재능키움사업을 통해 장애인의 잠재력을 키우고 일자리로 연계해 나가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어릴 때부터 숨어 있는 잠재능력을 가정과 단체에서 함께 찾아 나가길 기대한다”고 전했다. 사진=최학인
광양시 중마장애복지관에 후원기관들의 따뜻한 지원의 손길이 있었다. (주)에스엘엘, 국민은행 동광양지점, 수피아산림정원학교, 국립순천대학교 산학협력단, 마로커피학원, 조은농원, 우뢰징검다리봉사단 등이 후원에 참여했다. 사진= 최학인
6월 5일 부대 체험행사에서는 유리공예, 네일아트, 돌보고살피고, 행복이음세탁, 전래놀이문화, 아름드리나눔푸드, 새마을교통, 국립순천대학교 산학협력단, 광주광역시 남구 그린앙상블, 우뢰징검다리, 조은농원, 매시런, 라벤더 윤엔필 등 16개 봉사단체가 참여해 장애인을 위한 먹거리 제공과 만들기 체험을 진행하며 뜻깊은 나눔 활동을 펼쳤다. 사진=최학인
6월 5일 중마장애복지관 5주년 기념을 위해 전 직원이 준비한 합창공연. ‘별빛 같은 나의사랑아’ ‘찐이야!’ 등을 선사했다. 사진= 최학인

광양시 중마장애복지관이 6월 5일 개관 5주년을 맞아 ‘Hi Five! 우리 함께한 5년!’을 주제로 기념행사를 개최했다.

광양시 중마장애복지관(관장 정헌주)은 이날 복지관 중정과 2층 강당에서 기념행사를 열고, 정인화 광양시장, 최대윤 광양시의회 의장을 비롯한 지역사회 관계자, 복지관 이용자와 가족 등 28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지난 5년간의 성과를 돌아보고 향후 발전 방향을 공유하는 뜻깊은 시간을 가졌다.

식전 축하공연에서는 광주광역시남구장애인복지관 장애인예술단 ‘남구그린앙상블’이 김은영 음악감독의 지휘로 ‘나는 개똥벌레’, ‘별빛 같은 나의 사랑아’ 등을 열창하며 큰 박수 갈채를 받았다.

기념식은 개관 5주년 기념영상 시청, 국민의례, 내빈 소개, 기념사, 축사, 후원금 및 물품 전달, 감사패 및 감사장 수여, 전직원 공연, 생일 축하 케이크 커팅, 기념촬영 순으로 진행됐다.

유리공예, 네일아트, 전래놀이문화, 먹거리 제공, 만들기 체험 등 부대행사에는 16개 봉사단체가 참여해 장애인을 위한 다양한 나눔 활동을 펼쳤다.

정헌주 관장은 기념사에서 “오늘의 주인공은 복지관을 이용하는 모든 분들”이라며 참석자들과 함께 ‘Hi Five!’ 인사를 나눴다. 이어 “복지관은 고객, 기업, 지역사회가 함께 사랑하고 돕는 관계 속에서 성장해 왔으며, 앞으로도 함께 발전해 나가는 복지관이 되겠다”고 말했다.

정인화 광양시장은 축사에서 “장애인예술단의 공연에서 깊은 감동을 받았다”며 “광양시는 올해부터 재능키움사업을 통해 장애인의 잠재력을 키우고 일자리로 연계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어 “그동안 헌신해 준 정헌주 관장과 직원들, 자원봉사자, 후원자들께 깊이 감사드린다”고 전했다.

이날 행사에는 ㈜에스엘엘, 국민은행 동광양지점, 수피아산림정원학교, 국립순천대학교 산학협력단, 마로커피학원, 조은농원, 우뢰징검다리봉사단 등이 후원 기관으로 참여했다.

한편, 복지관 관계자는 “중마장애복지관은 사회복지법인 삼동회의 삼동윤리를 바탕으로 장애인의 재활과 자립, 복지 증진, 인식 개선을 위해 전문 인력과 지역 자원 네트워크를 통해 종합적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