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9.19. 정부 복지 행정 시스템에 ‘전자 서명’ 도입. 사진=KBS 뉴스 스틸 컷
모바일 행복이음 개요도. 자료=보건복지부
복지현장 현재와 개선 사항 비교. 자료=보건복지부
모바일 행복이음 정리. 자료=보건복지부. 자료정리=박준재

앞으로 복지사각지대 대상자는 자택 등 현장을 방문하는 공무원을 통해 그 자리에서 바로 복지서비스를 신청할 수 있게 된다.

보건복지부와 한국사회보장정보원은 9월부터 ‘모바일 행복이음’에 전자서명 기능을 새로 도입해, 복지 담당 공무원이 현장에서 바로 사회보장 급여와 서비스를 신청 받을 수 있게 됐다고 지난 19일 밝혔다.

모바일 행복이음 제도는 복지현장에서 상담과 신청을 받아 즉각 서비스를 결정할 수 있어 거동이 불편한 어르신 등 취약계층이 편리해지는 민원 편의성과 행정 효율의 극대화를 동시에 개선하는 효과를 거두게 됐다.

‘모바일 행복이음’은 지자체 사회복지 공무원이 태블릿을 활용해 복지대상자 정보를 조회하고 상담 기록을 남기며, 요금감면 신청까지 처리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시스템이다.

지난해 말부터 전국 시군구(읍·면·동)에서 본격 운영에 들어갔다. 그동안 현장에서는 상담 후에도 전자서명 기능이 없어 주민센터 재방문이나 공무원의 추가 재방문이 필요했지만, 이번 개선으로 현장에서 상담-신청-접수까지 원스톱 처리가 가능해졌다.

특히 가정, 경로당, 무료급식소 등에서 공무원이 태블릿으로 신청서를 열람하고, 복지대상자가 전자서명만 하면 즉시 접수가 완료된다.

이에 따라 거동이 불편한 노인이나 노숙인 등 직접 신청이 어려운 취약계층에게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홍화영 복지정보운영과장은 “현장의 목소리를 꾸준히 반영해 국민의 복지서비스 접근성을 높이고 공무원 업무 부담도 줄여 나가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