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고용노동부가 인공지능(AI)을 활용한 고용서비스를 본격적으로 선보였다.
고용노동부는 9월 12일 서울고용센터에서 열린 ‘인공지능으로 여는 고용서비스 오픈토크’ 행사에서 구직자와 기업을 위한 신규 ‘AI 고용서비스’ 4종을 공개하고, 고용행정 디지털 혁신 방향을 밝혔다.
구직자를 위한 서비스는 △지능형 직업심리검사 △데이터 기반 취업확률 예측 △AI 직업훈련 추천이다. ‘데이터 기반 취업확률’은 6개월 내 취업 가능성을 수치로 보여주고 부족한 역량을 분석한다. 이를 토대로 ‘AI 직업훈련 추천’은 필요한 교육 과정을 자동 연결한다. 한 구직자는 “AI가 진로 설정과 자격증 추천까지 해줘 시간을 크게 절약했다”고 말했다.
기업을 위한 대표 서비스는 ‘구인공고 AI 작성’이다. 기업이 모집 분야와 근무조건만 입력하면 AI가 직무내용·자격요건·우대사항을 자동 작성한다. 한 중소기업 대표는 “긴급 채용 시 AI가 신속하게 공고를 작성해 큰 도움이 됐다”며 “AI 인재추천 기능으로 적합한 인재를 빠르게 찾을 수 있었다”고 밝혔다.
노동부는 이날 ‘AI 고용서비스 로드맵(2025~2027년)’도 함께 발표했다. 올해는 구직자 대상 ‘잡케어+’를 구축해 직업탐색·역량분석·훈련·일자리 추천을 원스톱 지원하고, 2026년에는 기업 대상 ‘펌케어’를 도입해 구인공고 작성·채용 확률 제시·인재 추천 서비스를 제공한다. 2027년까지는 AI 직업상담, AI 고용·노동 상담 등 구직자·기업·행정직원이 함께 사용하는 통합 서비스를 완성할 계획이다.
안정적 운영을 위해 노동부는 AI 데이터 레이크 구축, GPU 확충 등 기반시설을 강화하고, ‘디지털 고용서비스 위원회’를 신설해 로드맵 추진을 체계화한다.
전문가들은 “AI 고용서비스는 개인별 맞춤형 취업 지원과 기업 채용 효율을 동시에 높일 핵심 수단”이라고 평가했다. 김영훈 노동부 장관은 “AI 고용서비스를 통해 국민에게는 더 많은 취업 기회와 맞춤형 지원을, 기업에는 신속한 인재 확보를 제공하겠다”며 “국가 고용서비스가 한 단계 도약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문의: 고용노동부 고용지원정책관 고용서비스기반과(044-202-768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