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방 소멸이라는 말이 낯설지 않은 시대다. 저출산과 청년 인구 유출로 다수 지방 도시는 인구절벽에 직면해 있다. 그러나 이 흐름을 거슬러 오르는 도시가 있다. 전남 광양시다. 광양은 2022년부터 3년 연속 인구가 늘고 있다. 더 주목할 점은 그 증가세의 중심에 청년층이 있다는 것이다. 청년이 떠나는 시대에 청년이 모여드는 도시, 그 이유는 무엇일까.
핵심은 ‘정책 선순환 구조’다. 광양시는 청년이 실제로 살고 싶은 도시를 만들기 위해 일자리·주거·복지·문화 전반을 연결하는 종합정책을 설계했다. 산업 현장에서 필요로 하는 인재를 지역에서 길러내고, 그들이 안정적으로 정착할 수 있도록 주거와 생활 여건을 동시에 지원하는 구조다.
먼저 일자리다. 광양은 철강, 이차전지 등 지역 주력산업과 연계해 ‘청년취업 아카데미’를 운영하며 산업 맞춤형 인재 양성에 힘썼다. 포스코그룹 등 대기업 취업 과정, 스마트 통합플랫폼 ‘굿잡광양’을 통한 구인·구직 미스매치 해소는 청년들이 지역에서 커리어를 쌓도록 이끌었다.
주거 분야의 변화도 두드러진다. 청년 주택자금 대출이자 지원 연령을 45세까지 확대했고, 취업 청년의 주거비를 직접 지원해 주거 부담을 낮췄다. 여기에 고급형 청년 공공임대주택 공급 계획까지 더해져 장기 정착 기반이 한층 강화됐다.
문화·복지 정책 역시 청년 중심이다. 미혼남녀 만남 행사, 문화복지카드, 결혼축하금, 청년꿈터 프로그램 등 다양한 사업이 청년의 삶의 질을 높였다. 구도심에 조성 중인 청년복합공간 ‘고향올래’와 청춘스케치마을은 교류·창업의 거점으로 기능할 예정이다.
올해 광양시는 본예산 대비 9억 원을 증액한 200억 원 규모의 청년정책 예산을 확보해 50개 세부사업을 전방위로 추진 중이다. 참여·권리, 일자리, 주거, 복지·문화, 교육 등 모든 분야에서 청년정책을 확장하며, 청년행정인턴과 청년정책협의체를 통해 청년의 시정 참여 기회도 넓히고 있다.
광양의 청년친화도시 지정도 머지않았다. 지난해 ‘청년친화헌정대상’ 소통부문 대상을 수상하며 정책 성과를 대외적으로 인정받았고, 현재 기본계획 수립 용역이 진행 중이다. 농촌 청년 유입을 위해 영농정착지원금, 스마트팜, 청년농업인 대학 운영 등 농촌 분야 지원에도 적극 나서고 있다.
또한 광양시는 청년정책 홍보와 접근성을 높이기 위해 광양청년꿈터 누리집, 인스타그램, 블로그를 운영하고, 전국 최초로 청년정책 통합 모바일 앱 ‘MY광양’을 도입했다. 정책 정보를 한눈에 확인하고 쉽게 신청할 수 있는 환경을 구축한 것이다.
정인화 광양시장은 “양질의 일자리와 주거, 복지를 아우르는 삼각 체제를 갖춰 청년이 오면 삶을 꾸릴 수 있는 도시를 만들고 있다”며 “청년 모두가 역량을 마음껏 펼치는 명실상부한 청년친화도시로 완성해가겠다”고 강조했다.
광양시의 인구증가 비결은 단순한 숫자가 아니다. 청년이 돌아와 정착하고, 미래를 설계하는 도시. 광양은 지금 지방소멸이라는 전국적 위기에 정면으로 맞서고 있다. 그리고 그 역주행의 힘은 바로 ‘청년이 머무는 도시’라는 확고한 비전에서 나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