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난정보 전달 변경 관련 이미지. 자료= 행정안전부
‘재난정보 전달체계 개선‘ 내용. 자료= 행정안전부, 자료정리= 박준재
3단계 중첩 전달체계 이미지. 자료= 행정안전부

지금까지 집중호우와 산불 등과 같은 긴급 상황에서 재난문자가 과다 발송되거나 모호하게 안내되는 문제, 고령층이 제때 수신하지 못하는 문제 등이 개선된다.

행정안전부는 국민 누구도 재난정보를 놓치지 않도록 ‘재난정보 전달체계’를 개선한다고 지난 8월 27일 밝혔다.

이 개선 대책은 ▷지자체에서 발송하는 재난문자, ▷마을단위 예·경보시설, ▷취약계층을 직접 찾아가는 인적 안전망까지 연결해 재난정보 사각지대를 차단하는 ‘3단계 전달망’을 말한다.

1단계, 지자체 중심 재난문자 체계 강화

앞으로 재난문자는 위험 정도에 따라 안전안내문자·긴급재난문자·위급재난문자로 엄격히 구분된다. 특히 극한호우나 대피명령 같은 긴급 상황에는 휴대전화가 ‘최대 볼륨(40dB 이상)’으로 울리며 반드시 알림을 받도록 한다.

또한 “안전한 곳으로 대피하세요” 같은 모호한 표현 대신, 언제·어디로·어떻게 대피해야 하는지를 구체적으로 담은 표준 문안을 마련한다. 문자 용량도 기존 90자에서 157자까지 확대할 예정이다.

중복 발송으로 인한 경각심 저하를 막기 위해 유사·중복 검토 기능을 시스템에 도입하고, 장기적으로는 불필요한 타 지역 재난문자를 차단할 수 있는 지오펜싱 기술도 활용할 계획이다.

지오펜싱 기술은 GPS(위성항법장치), RFID(무선주파수 식별), Wi-Fi 등을 활용해 특정 지역에 가상의 경계를 설정하는 기술이다. 이 가상 경계 내로 누군가가 진입하거나 벗어날 때 미리 설정된 특정 동작이 자동으로 실행된다.

2단계, 마을단위 예·경보망 촘촘히

휴대전화를 보지 못하는 어르신, 휴대전화가 없는 주민, 통신장애 지역에 사는 사람들을 위해 마을방송·전광판·스마트 음성전화 같은 예·경보 수단이 총동원된다.

특히 긴급·위급 재난문자가 발송되면, 해당 내용을 마을방송으로 자동 재전파한다. 또한 지자체의 요청만으로도 방송을 통해 대피 명령을 알릴 수 있도록 제도를 개선해 현장에서의 신속성을 높인다.

3단계, 취약계층 직접 찾아가는 인적 안전망

가장 마지막 안전망은 사람이 직접 찾아가는 전달 방식이다. 고령자, 장애인 등 대피가 어려운 주민들에게는 마을순찰대나 대피도우미가 직접 방문해 재난정보를 전하고, 대피소까지 안내한다.

예컨대 극한호우 예보 시 마을방송만으로 그치지 않고, 대피소 위치를 주민들에게 사전 안내하며, 대피 대상자는 실제로 집을 방문해 동행 지원까지 하도록 한다.

행안부는 이러한 내용을 8월 28일 각 지자체를 대상으로 설명회를 가졌으며, 구체적인 안내서를 제작해 전국에 배포할 예정이다.

김용균 행안부 안전예방정책실장은 “앞으로는 국민들이 위험한 상황에서 재난정보를 확실히 전달받고 안전하게 대피할 수 있도록 체계를 계속 보완하겠다”고 밝혔다.

문의: 행정안전부 안전예방정책실 재난정보통신과(044-205-528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