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4월 30일 중앙손상관리센터 현판식 장면. 중앙손상관리센터는 질병관리청이 지정해 운영하는 기관으로, 현재 고려대학교 안암병원이 위탁 운영하고 있다. 주요 업무는 손상 예방 및 관리 연구, 손상 관련 정보와 통계의 수집·분석·제공, 손상 예방 교육과 홍보, 전문 인력 양성 등이다. 사진=질병관리청
제1차 손상관리 종합계획. 자료=질병관리청

질병관리청은 현재 인구 10만 명당 54.4명인 손상사망률을 2030년까지 38명으로 낮추는 계획을 세웠다.

질병관리청은 국가손상관리위원회 심의를 거쳐 ‘제1차 손상관리종합계획(2026~2030)’을 확정했다고 지난 24일 밝혔다.

이 계획은 향후 5년간 손상 예방과 관리 정책의 청사진을 담은 이번 계획은 14개 관계부처가 함께 마련했다. 주요내용은 손상은 예방이 가능한 건강문제임을 전제로 범부처가 통합하여 5대 전략을 추진하는 계획이다.

손상은 예방 가능한 건강문제

손상은 교통사고, 추락, 중독 등 외부 위험요인으로 발생하는 신체적·정신적 건강 문제를 뜻한다. 우리나라 사망원인 4위를 차지할 정도로 심각한 상황이다. 전체 질병으로 인한 사회경제적 비용 148조원 중 손상이 21조원을 차지한다는 점에서 사회적 부담도 크다.

임승관 질병청장은 “손상은 일상생활 중 발생하는 우연한 사건이 아니라 예방할 수 있는 건강 문제”라고 강조했다.

5대 전략으로 통합 대응

정부는 ‘손상 걱정 없는 건강한 사회’를 비전으로 내세우고 5대 추진전략을 제시했다. 먼저 손상통합정보관리시스템을 구축해 데이터 기반으로 손상 발생 현황을 정확히 파악한다. 여러 기관에 흩어진 손상 관련 통계의 품질을 높이고 협력체계도 강화한다.

둘째, 자살·폭력 등 의도적 손상과 교통사고·낙상 등 비의도적 손상을 유형별로 집중 관리한다. 전동킥보드 같은 개인형 이동수단 사고 등 새로운 손상 유형에 대한 대응체계도 마련한다.

셋째, 어린이·청소년부터 노인까지 생애주기별 맞춤형 예방사업을 확대한다. 특히 고령화에 따른 노인 낙상사고와 사업장 중대재해 예방에 집중한다.

넷째, 응급상황 대응력을 높인다. 현장 응급처치 역량을 강화하고 응급의료 이송체계를 개선해 생존율을 높인다는 계획이다. 손상 환자의 재활을 위한 병원 확충과 심리지원 프로그램도 강화한다.

마지막으로 중앙과 지역 손상관리센터를 설치·운영하고 전문인력을 양성해 정책 기반을 다진다.

범부처 협력으로 전주기 관리

이번 종합계획의 특징은 단순한 사고 예방을 넘어 예방-대응-회복의 전 과정을 아우르는 통합적 접근이다. 보건복지부를 비롯한 14개 부처가 역할을 분담하고, 중앙정부와 지방자치단체가 협력하는 체계를 구축한다.

질병관리청은 국가 손상조사 감시체계를 중심으로 우선순위 손상 문제를 선정하고, 정책 효과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할 예정이다.

임승관 질병관리청장은 “각 부처에 흩어진 정책을 국민 건강보호 관점에서 모니터링하고 조정하는 새로운 역할을 맡게 됐다”며 “관계기관과 긴밀히 협업해 손상 발생 전후 전 과정을 포괄하는 예방·관리 체계를 구축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