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 신분증 관련 이미지. 사진=윤호중TV
2025 하반기 디지털 서비스 개방 공모 및 선정 등 절차. 자료=행정안전부

행정안전부(이하 행안부)가 국민이 자주 이용하는 공공서비스 35종을 민간 플랫폼에서도 이용할 수 있도록 개방에 나선다.

행안부(장관 윤호중)는 9월 23일부터 10월 15일까지 민간기업을 대상으로 ‘2025년도 하반기 개방 서비스 민간기업 선정 공모’를 진행한다고 지난 23일 밝혔다.

이번에 개방되는 서비스는 생활, 교통, 부동산, 증명서 등 11개 분야로, 주민등록증(IC 포함)·운전면허증 재발급, 모바일 여권정보 증명서비스, 국민연금 가입내역 조회 및 임의가입자 신청, 취학통지서 온라인 발급 등이 포함된다.

그동안 이러한 서비스는 정부의 공공 앱(웹)에서만 이용 가능했지만, 앞으로는 민간 앱·웹에서도 같은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다. 이미 KTX 승차권 예매, 자동차 검사예약 등 39종의 서비스가 개방돼 국민 편의가 크게 향상된 바 있다.

공모에 참여하는 기업은 서류 심사와 선정위원회 심의를 거쳐 10월 중 후보기관으로 선정된다. 이후 관계기관과 협의를 통해 이용약관 체결, API(응용프로그램 인터페이스) 개발을 마치면 내년 초부터 민간 앱·웹에서 순차적으로 서비스를 제공할 예정이다.

행안부는 9월 26일 서울 중구 포스트타워에서 민간기업을 대상으로 공개 설명회를 열어 참여 방법과 절차를 안내한다. 신청은 ‘문서24’를 통해 접수 가능하며, 관련 서류는 행안부 누리집(www.mois.go.kr)에서 확인할 수 있다.

이용석 디지털정부혁신실장은 “국민이 평소 사용하는 민간 앱을 통해 공공서비스를 제공하면 편의성이 크게 높아지고, 민간과 공공이 함께 디지털경제 활성화에도 기여할 것이다”며 많은 기업들의 참여를 당부했다.

2025년도 하반기 디지털서비스 개방 공모대상 서비스 명. 자료=행정안전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