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코홀딩스가 AI 기반 로봇 시스템을 활용해 산업 현장의 문제를 해결하는 ‘산업용 AI-로봇 경진대회’를 지난 9일 서울 강남구 삼성동 포스코센터에서 열었다. 이번 대회 참가팀들이 단체 기념사진을 촬영하고 있다. 사진=포스코
AI 로봇기술 경진대회 참가자들이 다관절 협동 로봇 챌린지를 수행하고 있다. 사진=포스코

포스코홀딩스가 AI 기반 로봇 시스템을 활용해 산업 현장의 문제를 해결하는 ‘산업용 AI-로봇 경진대회’를 지난 9일 서울 강남구 삼성동 포스코센터에서 열었다.

이번 대회는 포스코홀딩스가 그룹의 핵심 사업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작업자 안전과 AI 및 산업용 로봇기술의 무한한 가능성을 보여주기 위해 첫 번째로 대회를 개최한 것이다.

대학생과 대학원생을 대상으로 지난 5월 26일부터 진행된 경진대회에는 전국 32개 대학 84개 팀이 참가해 12대 1의 경쟁률을 뚫고 본선에 오른 7개 팀은 다관절 협동 로봇과 4족 로봇 분야에서 능력을 겨뤘다.

article

다관절 협동로봇 챌린지에 참가한 4개 팀은 이차전지 소재 열처리 용기를 모사한 불량 블록을 정상 블록으로 교체하는 미션에 도전, 정상 블럭으로 빠르게 교체하는 참가팀이 높은 점수를 받았다.

이어서 진행된 4족 로봇 자율보행 챌린지에는 3개 팀이 참가해 계단과 협소 구간 등 제철소 현장 설비 점검 구간을 모사한 트랙을 가장 빠르게 완주하는 미션을 수행했다. 두번째 챌린지에서는 로봇을 활용해 제품을 신속·안전하게 운반하고 장애물을 정확히 인지하는 능력을 중점적으로 평가했다.

이날 대상을 차지한 성균관대학교 Agile팀(4족 로봇 보행)과 서울시립대학교 UOS Robotics: ARM팀(다관절 협동 로봇) 등 본선 진출팀 전원에게 포스코그룹 회장상과 총 4천만 원의 상금이 수여됐다. 포스코홀딩스 연구과제 연계 및 포스코DX 채용시 가점 혜택도 주어진다고 한다.

성균관대학교 손영우 학생은 “AI를 활용해 로봇 자율 보행 솔루션을 직접 설계하고, 정밀한 미션을 수행하는 모든 과정이 흥미로웠고 앞으로 산업용 로봇 연구를 이어 나가는 데 값진 경험이 됐다”고 수상 소감을 밝혔다.

포스코홀딩스 김기수 미래기술연구원장(CTO)은 “이번 대회가 AI와 로봇이 중심이 되는 대한민국 제조업의 미래를 체험하는 장이 되고, 철강과 이차전지소재 분야에 AI·로봇 기술을 적극 도입 제조업 경쟁력을 한 단계 끌어올리고 인재 양성에도 기여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한편 포스코그룹은 4족 보행 로봇을 제철소 고위험 작업에 투입해 작업자가 안전한 환경에서 업무에 집중할 수 있도록 AI와 로봇기술을 확대 적용해 나가고 있다. 또 포스코그룹은 고유의 솔루션과 기술 경쟁력 확보를 통해 인텔리전트 팩토리 구현에 속도를 낼 방침이다.